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대리처방은 어떻게 하나요?

카테고리 없음

by 케익과빵 2023. 1. 31. 11:52

본문

SMALL

대리처방 가능 조건

  • 환자의 의식이 없는 경우
  • 환자의 거동이 현저히 곤란하고, 동일한 상병에 대하여 장기간 같은 처방이 이루어지는 경우

※ 다만, 처방 의료인의 의학적 판단에 따라 안전성을 인정하는 경우만 대리처방 가능하며, 의료인의 판단에 따라 대리처방을 거절할 수 있음
대리처방 가능한 수령자 범위와 구비서류

대리처방 가능한 수령자 범위와 구비서류대리수령자 범위와 구비서류로 나열된 표대리수령자 범위구비서류
가족인 경우
  • 부모 및 자녀 (직계존속·비속)
  • 배우자 및 배우자의 부모 (직계존속)
  • 형제·자매
  • 사위, 며느리 (직계비속의 배우자)
  • 처방전 대리수령 신청서
  • 대리수령자 신분증 (사본 가능)
  • 환자 신분증 (사본 가능)
  • 환자와의 관계 증명서류(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등)
가족외 가능한 경우
  •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
    (노인복지법상 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사람
    (교정시설 직원,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인거주시설 종사자 등)
  • 처방전 대리수령 신청서
  • 대리수령자 신분증 (사본 가능)
  • 환자 신분증 (사본 가능)
  • 해당 시설의 종사자임을 증명하는 서류(재직증명서 등)
대리처방확인서.hwp
0.01MB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