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차량에 따라 자동차 유지비는 큰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연간 200~400만 원 정도의 차량 유지비가 필요하다고 볼 수가 있죠. 많은 분들이 자동차 유지비? 그게 얼마나 된다고?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겁니다.
그래서 조금이라도 살림에 보탬이 되고자 이번에 알려드릴 사항은 바로 유류세 환급제도입니다
올해부터 경차연료의 유류세 환급 한도액이 연간 20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1세대 1경차 소유자가 유류구매카드로 경차연료를 구입하는 경우 휘발유·경유는 리터당 250원의 교통·에너지·환경세, LPG는 리터당 161원의 개별소비세에 대해 연간 30만 원 한도로 절약할 수 있습니다. LPG는 유류세율의 한시적 인하로 오는 4월 30일까지는 리터당 128원이 환급됩니다.
환급 대상자는 배기량 1000cc 미만의 경차(승용·승합)를 소유한 사람으로
△경차 소유자와 주민등록표상 동거가족이 소유한 승용차 또는 승합차 각각의 합계가 1대인 경우
△유가보조금 수혜대상자인 장애인 또는 국가유공자가 아닌 경우입니다. 대상 경차는 '자동차관리법' 제3조에 따른 승용차와 승합차로 길이 3.6m·너비 1.6m·높이 2.0m 이하여야 하며, 캐스퍼, 모닝, 레이, 트위지, 마티즈, 스파크, 다마스 코치 등이 해당됩니다. 경차 유류세 환급을 받기 위해서는 롯데·신한·현대카드사에서 유류구매(신용·체크)카드를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유류구매카드는 1인 1개 카드로, 1개 카드사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국세청이 신청인의 지원대상자 해당 여부를 검증한 후 카드사가 유류구매카드를 발급합니다. 아울러 카드사가 유류결제금액에서 해당 환급액(연간 30만 원 한도)을 차감하고 카드대금을 청구하기 때문에 경차 소유자가 별도로 환급신청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카드사는 환급액이 포함된 유류대금 전액을 주유소와 충전소에 지급하고, 환급액을 제외한 카드대금을 경차 소유자에게 청구합니다.
카드사는 주유소와 충전소에 지급한 금액과 경차 소유자에게 청구한 금액의 차액(환급액)을 국세청에 청구해 지급받게 됩니다. 다만, 유류비 지원을 받는 경차소유자는 유류구매카드로 구입한 유류를 해당 경차에만 사용해야 하며, 지원 대상 경차가 아닌 다른 차량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 유류구매카드를 다른 사람이 사용하게 하거나 다른 차량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류세와 함께 40%의 가산세가 부과되며, 해당 경차 소유자는 유류비 지원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이상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포스팅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