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rcms 가상계좌 발급 증명서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국가 R&D 사업은 연구하는데 필요한 연구비 지출시 부가세에 대해 직접 납부한 경우 부가세를 직접 납부하였다는 이체 등록증까지 증빙자료로 제출하여야 합니다.
국가 R&D 사업은 연구하는데 필요한 연구비는 기본적으로 공급가액만 지원해 줍니다. 즉, 부가세는 수행기관이 처리해야 합니다.
부가세를 처리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첫번째는 세금계산서, 신용카드, 현금영수증 등을 이용하여 결제하고 RCMS에 등록할 때 부가세를 제외한 금액만을 입력하는 겁니다.
두번째는 RCMS에서 부가세가 포함된 금액을 모두 집행하고, 이후에 부가세 복원을 신청해서 RCMS 가상계좌로 부가세 금액을 이체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부가세 직접 납부 방식의 경우, 부가세를 직접 납부하였다는 이체 등록증까지 증빙자료로 제출하여야 합니다.
rcms 회원가입
rcms 외 Keit(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NABIS(국가균형발전종합정보시스템), ITECH(산업기술R&D정보포털)에 회원가입한 경우 기존 로그인 정보 사용가능합니다.
환경설정
연구비 사용전에 기본적으로 꼭 해야 하는 설정입니다.
펌뱅킹 이용동의, 세무(이자지급) 정보 동의, 협약정보 확인, 연구비 카드 등록, 이체 비밀 번호를 등록합니다.
연구비 사용/취소
rcms를 통한 연구비 이체를 위해 사용정보를 등록하는 메뉴입니다.
부가세 복원
연구비는 기본적으로 공급가액만 지원해 주기 때문에 RCMS에서 부가세가 포함된 금액을 모두 집행한 경우 이후에 부가세 복원을 신청하여 RCMS 가상계좌로 부가세 금액을 이체해야 합니다.
연구비 정산
연구비 정산은 연구비 사용이 올바른지 정산기관으로부터 확인받는 단계입니다.
연구비 정산은 과제 개발기간 종료시점에 진행되는 절차로 연구비 사용이 올바른지를 정산기관으로부터 확인받는 단계 입니다.
수행기관에서는 정산 진행 전 연구비 사용을 모두 마무리 한 후 정산 준비를 진행해야 하며, 정산 준비를 통해 정산 서류 및 관련 정보 등록 후 사업비 사용실적보고서를 제출하면 이후 정산기관에서 정산을 진행합니다.
rcms에서 인건비를 지급하는 방식은 현금과 현물 2가지 입니다.
rcms 가상계좌 발급 증명서 | rcms 회계처리 가이드라인 | rcms 홈페이지 | rcms 메뉴얼 | 고객센터 | 사업비 연구비 과제비 정산 | 인건비 현물 2022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