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 상 : 3자녀이상 다자녀가정의 만 6세 ~ 12세 어린이 자녀 ※ 부모 및 청소년 자녀의 경우 대구은행 영업점을 통해 대구NEW아이조아카드(신용, 체크카드) 발급 ○ 신청 및 배부장소 : 어린이 자녀 주소지 관할보건소 ○ 구비서류: 신청인(보호자)신분증, 주민등록등본(필요시 가족관계증명서)
※신청 문의전화 ☎053-662-3233
부산광역시
사업
신청대상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주민등록기준) 세 자녀 이상의 가정(다만 자녀 중 한 명 이상이 19세 미만인 경우만 해당)
카드종류
신분확인용 카드 : 모바일카드, 플라스틱카드 * 2022년 모바일카드 전면시행으로 플라스틱카드 발급은 부득이한 경우(스마트폰 미소지자 등) 가능
신용(체크)카드 : 신한 가족사랑카드(신분확인 기능 겸용)
유효기간
막내 자녀 만 18세까지
신청방법
모바일카드(본인명의 휴대폰에서 B-PASS 앱 다운로드 후 즉시발급)
플라스틱카드(주민센터 방문신청, 신분증 지참) * 모바일카드 신청이 불가능한 경우에만 발급가능
발급절차
발급처기능신청방법부산시신분확인(모바일)신분확인(플라스틱카드)신한카드신분확인+신용카드기능
1. 앱 설치 B PASS(비패스) 앱 다운로드
2. 가입하기 서비스가입 및 약관동의, 본인인증(비번설정)
3. 가족사랑카드 발급 요청 서비스 - 모바일 가족사랑카드 선택, 발급하기
4. 발급완료 주민번호뒷자리 입력 (다자녀인증)
· 앱 설치 후 모바일 카드발급 시 문의사항 : 앱 첫화면 – 더보기 – 카카오톡(또는 LINE) 문의 클릭! · BPASS앱에서 모바일 가족사랑카드 발급 후 모바일교통카드(다자녀유형) 발급 가능(도시철도 다자녀 할인요금 자동적용) 모바일교통카드안내
주민센터 방문 신청
카드신청 (다자녀가정)
발급승인 (주민센터)
카드발급 (시 출산보육과)
카드교부 (구군→주민센터)
ARS(080-700-2108)
* 주의사항 :
다자녀가정 중 19세이상 세대원만 신청가능 (14세이상 청소년자녀는 가족카드(체크) 발급 가능), 삼성페이 등 휴대폰 등록하여 사용 시 후불 교통할인 미적용(실물카드 사용필수)
카드소개
부산광역시 발급 가족사랑카드구분내용기타
[모바일]
[플라스틱 카드]
* 부산광역시에서 제공하는 신분확인용 발급 카드임
교통혜택
유료(광안대로)통행료 면제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50% 할인
도시철도요금(성인기준) 50% 할인
※ 통행료 및 공영주차장 할인 신청시 ‘다자녀가정 우대 차량스티커’ 반드시 부착
문화혜택
부산 육아종합지원센터 이용료 감면
다자녀가정 지원 참여업체 할인
신한카드 부산가족사랑 (신용카드)신한카드 부산가족사랑 (체크카드)
* 연회비 : 1만2천원 (발급 2차년도 이후 부터는 전년도 1회이상 사용시 면제)
* 연회비 : 없음 * 청소년 후불교통기능 체크카드 [도시철도 (성인요금 기준) 50% 할인] 신청 : 부모 가족카드(체크)에 청소년 자녀(만13세~만18세) 추가
부모 신규고객 : 080-700-2108, 부모 기존고객 : 1544-7000으로 신청
※ 다자녀가정 우대혜택 유형에 따라, 신한 제휴카드 명의자 본인 외 세대원의 혜택 적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확인 절차(신분확인용 가족사랑카드, 주민등록등본 등)가 있을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연말정산시 만 20세 이하 자녀 1명당 150만원 기본공제, 만 7세 이상 자녀 15만원 추가공제 * 3명 이상인 경우 : 연 30만원과 2명을 초과하는 1명당 연 30만원을 합한 금액
해당 연도에 출산하거나 입양한 자녀가 있는 경우, 첫째 30만원, 둘째 50만원, 셋째 이상 70만원 세액공제
문의 : 국세청(☎126)
국민연금 출산 크레딧 지원
대상 : 국민연금 가입자의 경우 2008년 1월 이후 태어난 두자녀이상 자녀를 둔 가정
내용 : 둘째아이는 12개월, 셋째아이부터는 1인마다 18개월(최장 50개월) 연금보험료 추가 납부한 것으로 인정
문의 : 국민연금관리공단(☎1355)
다자녀가구 도시가스요금 감면
대상 : 세대별 주민등록표상 18세 미만의 3자녀이상 가구
내용 : 동절기(12~3월) 월 최대 6,000원, 동절기 외(4~11월) 월 1,650원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동 주민센터 또는 전북도시가스 지역관리소 방문 신청
문의 : 전북도시가스(☎240-7700)
다자녀가정 수도세 감면
지원대상 : 전주시에 주민등록을 둔 2자녀 이상 중 1명 이상이 만 19세 미만인 가정
지원내용 : 2자녀(5㎥ 6,450원 감면), 3자녀 이상(10㎥ 12,900원 감면)
신청방법 : 주소지 관할 동 주민센터
신청서류 : 신분증, 수도요금 고지서 지참
전라북도
두자녀이상 가정을 위한 할인혜택 “아이조아카드”·대 상 : 막내가 만12세이하인 2자녀 이상 가구(임산부도 포함)·카드헤택 : 카드 할인혜택 + 해당 시 가맹점 할인·자동차 취득세(공채매입포함)감면o구비서류 : 가족관계증명서 지참하여 차량등록시 감면신청·상・하수도요금 감면(3자녀 이상 가구)o지원금액 : 3~5자녀 월 최대 10,500원, 6자녀 이상 월 최대 39,100원o☎ 문 의 : 해당 시 상수도과 (859-4371), 하수도과 (859-4423)o전기요금의 30%(16,000원 한도 내)o☎ 문의 : 한국전력공사(국번없이 123)o프로그램 수강료 면제§모현, 마동, 부송, 영등, 황등, 금마도서관·체육관 사용료 감면(50%)o모현도서관 체육관(탁구, 헬스)·국민생활관 프로그램 이용료 할인o프로그램 이용료 50% 할인·공영주차장 요금 감면(2자녀 이상, 50% 감면)o지원내용 : 이용요금 50% 할인·해당 사랑장학재단 장학생 선발 다자녀 가점 부여(3자녀 이상)o지원내용 : 장학생 선발시 다자녀 가정에 가산점 부여(1~3점) - 중학생 30명, 고등학생 30명, 대학생 35명·장애가정, 다문화가정, 다자녀가구 책 읽어주는 로봇 및 전집 대출 지원o지원내용 : 책 읽어주는 로봇 및 전집 1개월 대여o☎ 문 의 : 해당 시 모현시립도서관 (859-7339)지원내용·지원금액 : 세대당 월 10만원(분기당 지급(지역화폐)) - 전입가정의 경우 전입월부터 지원, 전출시 전출달은 지원 제외·신청및문의 :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및 시청 여성가족과(859-5336)
·지원기간 : 둘째(만0~ 3세/최대 36개월), 셋째이상(만0~5세/최대 60개월) - 둘째아 출생후 지원금을 수령하고 있는 가정이 셋째아 출산한 경우 → 셋째 기준으로 전환(0세부터 재지원), 둘째, 셋째 중복지원 안됨 ※ 2021.1.1. ~ 5.31. 출생아의 경우 21. 6월분부터 지원
·지원대상 : 2021. 1. 1.이후 둘째이상 출산가정(해당 시에 거주하며 주민등록 有) - 자녀 출산 순위는 주민등록상 함께 등재된 자녀수로 확인
다둥이사랑지원금
o신청방법 : 시립도서관 홈페이지 신청
o대 상 - 장애아동 : 해당 시 거주 장애아동 가정 - 다문화가정 : 해당 시 거주 다문화가정 - 다자녀가구 : 해당 시 거주 20세 미만의 자녀 2명 이상인 가구
o☎ 문 의 : 해당 시 교육정보과 (859-5152)
o대 상 : 해당 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고, 자녀가 3명 이상인 가정
o☎ 문 의 : 해당 시 교통행정과 (859-7264)
o대 상 : 해당 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고, 자녀가 2명 이상인 가정의 경우(막내가 만 12세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