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고입자소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벌써 2023년도가 되었죠.
2023학년도 고등학교 입학전형의 시작을 알리는 학업성취도 평가가 이루어지는 중학교에서 교과성적은 크게 의미가 없어 결국 자기소개서에서 나를 어떻게 알리느냐가 중요해졌습니다.
그러나 처음 자기소개서를 써야 하는 학생들은 1500자 정도라는 글자 수로 무엇을, 어떻게 써야만 하는 것인지 막막하기만 하죠. 이에 희망 진로에 맞춰 중학교에서의 자기주도학습 과정을 명확하게 서술할 수 있는 자기소개서 작성법을 소개해드릴게요.
자기소개서 작성을 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제출서류에서 드러나지 않는 부분을 각 학교에서 요구하는 제출서류와 자기소개서 항목을 우선 확인해 어떤 내용을 서술해야 할지 판단해야 합니다.자기소개서 양식은 학교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지원 학교의 인재상과 맞춰 사례나 에피소드로 간결하게 경험 위주로 작성하는 것이 좋고 학교내에서 어떤 부분에 호기심이 생겼고, 이를 스스로 살펴보기 위해 어떤 활동을 했으며, 이 과정을 통해 무엇을 느끼고 배웠으며, 이후 어떤 것을 계획하고 실행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중요합니다.
나만의 특별한 경험을 글로 표현해 조금은 서툴고 투박한 글이 긍정적인 평가를 끌어낸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외국어고·국제고·자율형사립고
<자기소개서 작성 시 배제사항> 본문에 영어 등 각종 인증시험 점수, 교과목의 점수·석차, 교내·외 각종 대회 입상실적, 자격증, 영재 교육원 교육 및 수료 여부 등 기재 시 0점 처리 부모 및 친인척의 사회·경제적 지위 암시 내용, 지원자 본인의 인적 사항을 암시하는 내용 등 기재 시 학교별 기준을 마련하여 항목 배점의 10% 이상 감점 처리
과학고
<자기소개서 작성 시 배제사항> 올림피아드(KMO 등), 교내·외 각종 경시대회 등 입상 실적, 영재교육원 교육 및 수료 여부 등 부모와 친인척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암시하는 내용 기재 금지 예) 부모의 구체적인 직장명이나 직위, 소득수준, 고비용 취미 활동(골프, 승마 등), 학교에서 주관하지 않은 모둠 및 프로젝트 활동 (사설 학원 및 기관에서 추진하는 교과 관련 활동) 등 TOEFL·TOEIC·TEPS·TESL·TOSEL·PELT·HSK·JLPT 등 각종 어학인증시험 점수, 한국어(국어)·한자 등 능력시험 점수
요약하자면
성적이나 상패보다는 중학교 시절에 자신의 흥미분야가 무엇이며 그를 위해서 자신이 노력해온것 그리고 그것을 성취하기 위해서 앞으로 무엇을 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쓴다면 좋다고 할수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간단합니다
학교입장에서는 단순히 뚜렷한 목적이나 계획없이 자신은 공부를 잘한다. 상을 뭐뭐를 받았다고 나열하면 이 학생을 통해서 학교입장에 득이 된다고 생각할까요?
뚜렷한 목표나 계획없이 무대뽀는 사회에서도 그다지 좋게 보지 않습니다.
대학이나 회사 면접도 동일한 맥락이라고 생각됩니다.
어떤 학교를 목표가 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목적과 목표를 위해 이곳에 와서 나의 꿈을 드높이겠다.
이렇게 말하는 것이 면접관은 좋아할 덕목이라고 20년 인사관리를 하는 저로서는 그렇게 생각합니다.